`08.05.11일 일욜...
초등학교 동창들과 소풍으로 여주에 다녀 왔습니다.
여주에는 세종대왕릉인 영릉과 신륵사,목아 박물관, 명성왕후 생가등 많은 유적지들이 산재해 있는 곳으로
울들은 신륵사와 세종대왕릉인 영릉 두군대를 다녀왔습니다.
신륵사...
대한 불교 조계종 신륵사는 여강이 감싸안은 봉미산 남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으며 창건연대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아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통일 신라말이나 고려 초기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신륵이란 사찰명은 이 지방에 나타난 사나운 용마를 어느 스님의 신력으로 제압한 것에서 유래 되었다고 전해 지고 있으며 이후 고려때부터
동쪽바위 위에 있는 벽돌로 쌓은 전탑으로 인해 벽절이라 불리우기도 했다 합니다.
신륵사와 인연이 깊었던 사람은 목은 이색과 나옹화상으로 신륵사 동대탑 중수비에 의하여 두 사람이 이곳 신륵사에서 교우했다는 기록이
보입니다. 고려말의 대선사인 나옹화상은 1376년 밀양 영원사로 가는 도중에 신륵사에서 입적하셨다고 합니다. 이를 계기로 대대적인 중수가
이루어져 대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고 하내요....
고려말 대학자인 목은 이색은 돌아가신 부모님의 명복을 빌기 위해 1382년 이곳에 2층으로된 대장강을 건립하고 대장경 일부를 봉안하였으며,
이를 기념하기위해 대장각기비를 세웠다고 합니다.
세종 22년(1440) 여흥부원군 민제의 화상봉안을 위해 중수된 신륵사는 성종 3년(1472)에 세종의 능인 영릉이 여주군으로 이장되자 영릉의
능침사찰이 되었고 정희왕후의 명에 따라 사찰명을 보은사로 바꾸고 대규모 중수불사를 하였다고 합니다. 이후 중종, 현종, 숙종, 정조, 철종대와
1925, 1929, 1955년에 각각 중수불사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주요문화재 : 1) 신륵사 조사당(보물 제180호)
2) 신륵사 다층석탑(보물 제225호)
3) 신륵사 다층전탑(보물 제226호)
4)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보물 제228호)
5)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비(보물 제229호)
6) 신륵사 대장각기비(보물 제230호)
7)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앞 석등(보물 제231호)
8) 신륵사 극락보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지금 여주에는 도자기 축제 기간이라 많은 사람들로 붐비며 신륵사 사찰 입장료가 일반 2천원 입니다.
도자기 축제장 입구
신륵사 입구 주차장은 만원입니다.
신륵사 주변 안내판.
신륵사 가는길의 가마터.
신륵사 일주문 입니다.
조포 나루터. 여주대교가 세워지기 전가지 나룻배가 운행되엇다고 하내요...
범종각
불교계에서 말하는 사물을 조성하여 준곳으로 아침, 저녁 예불때 법고, 목어, 운판, 범종 순으로 치게 됩니다.
범종은 그소리로 인하여 이체중생이 번뇌로 부터 벗어나 지혜를 증장하고 깨달음을 얻게 하는데 그 의미가 있습니다.
보호수 향나무.
조사당 안내문.
보물 제180호 조사당 입니다.
명부전. 1929년 강성인스님이 주지 재임시 김인주가 화주로 명부전을 중건하였다고 합니다.
다층석탑 보물 제225호
극락보전 앞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탑으로 대리석을 재료로 사용한 것이 특징입니다. 탑의 몸체 4면에는 구름과 용무늬를 아름답게 조각하였고 탑의
형태는 신라, 고려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세부 조형은 전시대와는 다른모습을 보여 줍니다.
극락보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신륵사의 글락보전은 정면3칸, 측면2칸의 다포 양식으로 된 조선후기의 건물이고 극락보전은 아미타부처님을 주존으로 모신 전각으로
아미타불은 서반극락 정토의 주불이자 모든 중생들에게 안락과 수면장수를 서원하시는 대자대비 부처님이시고 현재 극락보전 내에는
주존으로 아미타불, 양협시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봉안하고 있으며 그 뒤로 아미타후불 탱화가 모셔져 있습니다.
부처님 오신날을 하루 앞두고 연등이 많이 달려 있습니다.
극락보전 앞의 향나무.
파란하늘이 산사와 어우러져 멋있군요...
극락보전 앞뜰.
구용루.
다층석탑. 보물 제226호
다층석탑의 건립연대는 정확히 알수 없으나 문양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되고 벽돌로 만들어진 이 탑은 강변 바위 위에 세워져
강을 오르내리는 사람들 눈에 호법신장 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 탑으로 인해 신륵사를 벽절이라고도 불리워 지기도 합니다.
강월헌.
남한강변에 위치한 강월헌은 보제존자 나옹화상의 다비장소(화장터)로 나옹화상의 다비를 기념하여 세운 삼층석탑과 거의 맡붙어 있으나
1972년 홍수로 옛 건물이 떠내려 간 이후 지금의 자리에 철근과 콘크리트로 1974년 재건축한 것입니다.
강월헌앞 남한강.
강건너 강변 유원지. 여주사람들의 여가터 입니다.
대장각기비. 보물 제230호
대장각기비는 비문에 의하면 고려말 목은 이색이 공민왕과 부모의 명을 빌고자 나옹의 문도와 함께 발원하여 대장경을 인출하고 대장각을 지어
봉안한 사실을 기록하여 세운 것으로서 비문은 이숭인이 지었고 글씨는 권수가 썼다고 합니다.
보호수 은행나무.
사찰 풍경.
극락보전 앞.
극락보전 뒤뜰.
사찰 풍경.
해를 가린 연등.
칠성각.
사찰 풍경.
사찰 풍경.
사찰 풍경.
강변을 구경하는 참배객.
사찰옆 공원.
원호장군 전승비.
닦지 않으 거울은 들여다 볼수 없듯이
이 마음속의 부처님은 매일매일 정진속에 있다.
신륵사 부설기관 으로는 연꽃 선재 어린이집과 여주 노인 복지 회관이 있고
템플스테이를 실시하여 스님들의 일상을 체험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고 합니다.
신륵사 전화번호 : 031-885-2505
'사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령산 보광사..... (0) | 2008.07.16 |
---|---|
운악산 봉선사... (0) | 2008.06.16 |
양주 회암사 (0) | 2008.06.09 |
청평사 (0) | 2008.05.30 |
소요산 자재암 (0) | 2008.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