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덕사는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광덕산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652년(진덕여왕 6) 자장(慈藏)이 창건하였고, 832년(흥덕왕 7) 진산(珍山)이 중수하였으며, 1344년(충혜왕 복위 5) 중창하였다.
임진왜란 이전까지는 충청도와 경기도 지방에서 가장 큰 절 중의 하나로서, 사찰소유 토지가 광덕면 전체에 이르렀고,
89개에 달하는 부속암자가 있었다. 또한, 누각이 8개, 종각이 9개, 만장각(萬藏閣)이 80칸, 천불전(千佛殿)도 3층으로 되어 있었다고 한다.
임진왜란으로 타버린 뒤 1598년(선조 31) 희묵(熙默)이 중수하였고, 1665년(현종 6) 석심(釋心)이 불상과 종을 개수하였으며,
1679년(숙종 6) 상민(尙敏)이 중창하였다. 대웅전과 천불전만이 중건된 채 1980년까지 사세가 계속 기울었다.
1981년에 대웅전과 종각 등을 신축하고 천불전도 증축하였으며, 그 앞으로 석교도 가설하였다.
1996년 철웅(哲雄)이 15년 동안의 불사를 마무리하여 대웅전·천불전·명부전·범종각·적선당·보화루 등을 중창하였다.
그러나 이 가운데 천불전은 1998년에 소실되었다.
광덕사 일주문
일주문이라는 말은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는 데서 유래된 것으로, 사주(四柱)를 세우고 그 위에 지붕을 얹는
일반적인 가옥형태와는 달리 일직선상의 두 기둥 위에 지붕을 얹는 독특한 형식으로 되어 있다.
사찰에 들어가는 첫번째 문을 독특한 양식으로 세운 것은 일심(一心)을 상징하는 것이다.
신성한 가람에 들어서기 전에 세속의 번뇌를 불법의 청량수로 말끔히 씻고 일심으로 진리의 세계로 향하라는 상징적인 가르침이 담겨 있다.
즉, 사찰 금당(金堂)에 안치된 부처의 경지를 향하여 나아가는 수행자는 먼저 지극한 일심으로
부처나 진리를 생각하며 이 문을 통과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건축양식은 주로 다포계(多包系)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데, 이 문에 많은 현판(懸板)들을 걸어 사찰의 격(格)을 나타내기도 한다.
광덕사 안내도
광덕사 사적비
광덕사 전통 찻집
광덕사 호두나무
호도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 이남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약 20m까지 자란다. 꽃은 4∼5월에 피고, 9월에 둥근 열매가 익는다.
이 호도나무는 나이가 약 4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18.2m이며, 지상 60㎝의 높이에서 두 개 줄기로 갈라져 가슴높이의 둘레가 각각 2.62m, 2.50m이다. 호도나무 3m 앞에는 이 나무의 전설과 관련된 ‘유청신 선생 호도나무 시식지’란 비석이 세워져 있다.
전설에 의하면 약 700년 전인 고려 충렬왕 16년(1290) 9월에 영밀공 유청신 선생이 중국 원나라에 갔다가
임금의 수레를 모시고 돌아올 때 호도나무의 어린 나무와 열매를 가져와 어린 나무는 광덕사 안에 심고,
열매는 유청신 선생의 고향집 뜰 앞에 심었다고 전해지나 지금의 나무가 그 때 심은 것인지의 정확한 근거자료는 찾지 못하고 있다.
이곳 마을에서는 이것이 우리나라에 호도가 전래된 시초가 되었다 하여 이곳을 호도나무 시배지(처음 심은 곳)라 부르고 있다.
이 호도나무는 오랜 세월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나무로서
문화적·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선화루
종무소
보화루 밑에서 바라본 대웅전
대웅전
석가모니불을 봉안한 법당.
격을 높여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고도 하며 항상 사찰의 중심에 있다.
대웅전에는 사바세계의 교주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에 두고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을
협시(脇侍)로 봉안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스님들의 수행공간 적선당
보화루
범종각
명부전
육화당
잔디를 깔아 특색있게 만든 절 앞마당
산신각
천불전 안내판
천불전
스님들의 수행처 자광당
5층석탑
'사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원 도피안사 (0) | 2011.09.07 |
---|---|
천년의 문화유산이 살아 숨쉬는곳 양주 회암사... (0) | 2011.09.06 |
태백산 망경사 (0) | 2011.06.17 |
금강산 건봉사... (0) | 2011.05.29 |
천년의 향기 용문산 용문사 (0) | 201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