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이야기(수도권)

동구능

자연에 동화된 로드킹 2008. 5. 28. 19:29

집사람과 평일 데이트를 일주일에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오늘은 구리시 인창동에 위치한 동구릉을 찾았습니다.

둘째넘 유모차태워서 데려오고 10년만에 오나 봅니다.

 

동구릉은 조선을 세운 태조의 능으로 쓰이기 시작한 뒤 조선시대를 통하여 가족 능을 이루고 있는 왕릉군으로

동구릉이란 도성의 동쪽에 있는 9개의 능이란 의미로, 능이 생길 때마다 동오릉ㆍ동칠릉이라 불렀는데

1855년(철종 6)에 수릉이 옮겨진 이후 동구릉으로 굳어졌다고 합니다.

 

관람시간 안내입니다.

 

관람시간
3월 ~ 10월 11월 ~ 2월
매표 관람 매표 관람
06:00~17:30 06:00~18:30 06:30~16:30 06:30~17:30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관람요금
구분 개인 단체
대 인 (19세 ~ 64세) 1,000원 800원(20인 이상)
소인 (7세 ~ 18세) 500원 400원(10인 이상)
※ 50% 감면→장기복무제대군인(증명서 제시자, 50% 감면)
※ 단체인원에서 대인+소인 20명도 단체로 적용하며 각각의 요금 적용
※ 시행일자 : 2005. 1. 1
무료관람 대상자
한복착용자(신정, 설날, 추석연휴에 한함)
특수임무공로자증 등 특수임무 관련 해당증명소지자
초.중.고등학생 둘째, 넷째 토요일
6세이하 및 65세이상
장애인 (1~3급은 동반 1인 무료)

국가유공자

 

찾아 오시는길

주소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길 233
교통편
버스
- 청량리에서 88, 202→상봉역(88, 202)→구리시→동구릉
- 강변역에서 1,1-1,9-2→구리시→동구릉
- 전철(중앙선) 구리역에서 마을버스 2,6 → 동구릉
승용차
- 서울 → 동서울 → 구리시 → 동구릉
- 서울 → 의정부 → 퇴계원 → 동구릉
- 서울 → 화랑대사거리 → 구리시 → 동구릉
- 서울 → 망우리 → 교문사거리 → 동구릉
※ 구리시내에서 퇴계원 방향(43번국도)으로 약 2㎞

제향일 안내.

가족과 함께 나들이겸 해서 참석하면 좋을듯 하구여 건원릉 태조 이성계때는 3천명정도가 참석한다고 하니 대단합니다.

 

능을 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비.

 

 동구릉안내문.

 

 동구릉 안내도.

 

 입구에서 곧게 뻗은 길.

 

 홍살문.

 

 홀살문 안내판.

 

 세월의 흔적을 알려주는 나무 뿌리.

 

 관리 사무소.

 

 관리 사무소 앞의 느티나무.

 

 관리사무소 앞의 개울...

 

 

 

 수릉.

추존 문조와 그의비 신정왕후 조씨의 능으로 문조는 순조와 순원왕후 김씨 사이에서 순조 9년(1809) 8월 9일 창덕궁 대조전에서 탄생하여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순조 30년(1830)  5월 6일 창덕궁 희정당에서 춘추 22세로 1남(제24대헌종) 남기고 승하하여 같은해 8월 4일에 의릉(경종) 왼편에 모시고 연경묘라 하였다. 헌종 원년(1835) 5월 19일 왕으로 추존하고 묘호를 익종, 능호를 수릉으로 올렸으며 헌종 12년(1846) 윤 5월 20일  양주 용마봉 아래로 옮겼다가 철종 6년(1855)에 다시 건원릉 왼쪽으로 옮겨 모셨습니다.

신정왕후 조씨는 풍은부원군 조만영의 딸로 순조 8년 (1808) 탄생하여 동왕 19년(1819)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며 고종 27년 (1890) 4월 17일 경복궁 흥복전에서 83세로 승하하시어 같은해 8월 30일 모셔졌다고 합니다.

 

 

 

 현릉.

제5대 문종과 그의 비 현덕왕후 권씨의 능으로 세종의 장남인 문종은 태종 14년(1414) 10월 3일 탄생하여 1450년 2월 22일에 즉위 하였고 문종은 동국병감, 고려사, 고려사절요를 편찬하였고 진법구편을 직접 저술하였으나 1452년 5월 14일 경복궁 천추전에서 39세로 승하 하셨다고 합니다. 같은해 9월 1일에 이곳으로 모셔졌으며 현덕왕후 권씨는 화산부원군 권전의 딸로서 태종 18년(1418) 3월 12일에 탄생하여 세종 19년(1437)에 세자빈에 책봉되었고 세종 23년 단종을 낳았으나 산후병으로 자선당에서 춘추 24세로 승하하였다. 단종이 즉위하자 현덕왕후로 추존되고 소릉이라고 하였다가 중종8년(1513) 4월 21일 경기도 안산에 있던 것을 문종의 능 왼편으로 천장하였다고 합니다.

 

 

 

 

 

 왼쪽은 신하가 오르는길이고 오른쪽은 왕이 오르는 계단이라고 하내요.

 

 건원릉.

태조 이성계의 릉으로 참배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다고 합니다.

 

 

 

 좌측은 혼령이 오는길이고 우측은 왕이 다니는 길이라고 합니다.

 

 휘릉입니다.

 

 

 

 

 제21대 영조의 원릉입니다.

 

 

 

 제 24대 헌종의 능입니다.

 

 

 

 혜릉입니다.

 

 숭릉은 출입금지 구역으로 목릉과 함께 현재는 통제되고 있습니다.

 

동구릉을 다녀온 이후 조선왕조 5백년이 갑자기 궁금해져 조선왕조 실록 책을 사서 읽고 있습니다.

기회가 되면 서오릉및 삼릉도 찾아 볼까 합니다.

 

 

 

'사진 이야기(수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원화되고 있는 마장 저수지....  (0) 2008.07.17
광릉 국립 수목원  (0) 2008.07.01
구리 유채꽃 축제  (0) 2008.05.19
파주 경순왕릉  (0) 2008.05.14
임진각 평화누리공원  (0) 2008.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