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이야기(지방)

흑성산 일출...

자연에 동화된 로드킹 2012. 5. 7. 12:16

 

높이는 519m이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남화리의 뒷산으로 차령산맥 줄기에 있는 구릉성 산이다.

북쪽으로는 태조봉, 남쪽으로 백운산취암산 등이 있다. 북쪽은 태조봉에 연속되며 서쪽은 아홉싸리고개·유랑리고개·장고개 등이 있다.

이들 고개와 산 서쪽 기슭의 승척골은 매우 아늑하여 전쟁 때에는 피난처가 되었으며 승천사터가 남아 있다.

산의 본래 이름은 '
검은성()'이다.

산정에는 둘레 739보()인 흑성산성터가 있으며 성 안에는 지지()가 있다.

6·25전쟁 때 6개 면의 주민을 동원하여 목천면 서리에서 산정까지 군용도로를 개설한 이래 산정에는 공군 항로보안단의 지대()와

미극동공군의 통신대를 비롯한 군사시설과 방송시설, 텔레비전 중계소 등이 들어서 있다.

흑성산성은 천안시 안의 고대산성 중 기록에 남아 있는 유일한 산성으로서 옛 기록에 의하면 이 산성은 목천현의 서쪽 11리,

험하고 가파른 흑성산 위에 있는 석축산성으로 북동쪽으로 산맥이 계속 이어져

성거산성·의례산성과 이어지고 남쪽으로 남화리토성과 세성산성으로 연계된다.

산성 바로 아래 기슭에는 1983년 8월 15일
독립기념관이 건립되었다.

이곳에 독립기념관이 들어서게 된 것은 동쪽의 병천면에 3·1운동의 한 본거지였던 유관순기념사당이 있어

독립운동과 관계된 곳이라는 것과 경부고속도로가 지나고 지형이 평탄한 넓은 땅이 있다는 입지조건 때문이다.

이 산은 풍수지리상 서울에서
외청룡이 되며 '금계포란형'의 명당 길지로 독립기념관 정면, 겨레의 집 뒤로 보인다.

산 서쪽 기슭의 보문사에는 50년 전 지리산 승천사에 있던 불상 3위을 옮겨와 모시고 있다.

서울에서 가깝고 독립기념관 개관과 함께 널리 알려져 최근에는 산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출처]
흑성산 [黑城山 ] | 네이버 백과사전

 

 

 

 

 

 

 

 

 

 

 

 

 

 

 

 

 

 

 

 

 

 

 

 

 

 

 

 

 

 

 

 

 

 

 

 

 

 

 

 

날이 받쳐주질 않아 먼거리 아쉬움이 남는 출사였습니다.

날 좋을때 다시한번 와봐야 겠습니다....

 

'사진 이야기(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기산 일출...  (0) 2014.10.28
안성 목장의 봄(농협안성 팝랜드)  (0) 2012.05.08
구례 산수유 마을  (0) 2012.04.13
강양 매화마을  (0) 2012.04.11
보리암 일출  (0) 2012.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