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활동

소요산...

자연에 동화된 로드킹 2009. 7. 30. 01:01

산 행 지 : 경기 동두천, 연천 소요산(587m)

산행일자 : `08.05.10. 일욜.

산행코스 : 산림욕장입구-정자(매표소)-하백운대(440m)-중백운대(510m)-상백운대(559m) 중식

               칼바위능선-갈림길-자재암-원효폭포-소요산역 (4시간 30분 산행)

참 석 자 : 처음처럼,얕은지식,웩짱,번들사랑,히든,로즈리,로드킹 (7명)

 

소요산은 서화담 양봉래와 매월당이 자주 소요하였다 하여 소요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소요산은 규모는 작지만 산세가 특이하고 봄에는 진달래와 철쭉이 장관을 이루며, 여름의 녹음과 폭포, 계곡, 가을 단풍 또한 유별나서 옛부터 경기의 소금강이라 일컬어지고 있으며 인적 뜸한 겨울 정취도 낭만이 그윽합니다. 뾰족뾰족한 기암괴석이 절묘하게 봉우리를 이루어 놓아 만물상을 연상케 하며, 자재암이 있는 백운대를 오르는 계곡은 암봉과 바위능선 사이로 골짜기가 협곡을 이루고 있으며 청량폭포, 원효폭포,선녀탕 등의 명소가 산재해 있으며 작고 낮은 산은 하.중.상백운대를 비롯 나한봉과 의상대, 공주봉의 여섯개 봉우리가 말발굽 모양으로 능선을 만들어 내고 있는데 이를 지나는 코스가 일반적인 등산코스 입니다.

주말에는 전철시간이 1시간에 2대밖에 다니지 않아 시간을 확인하고 일정을 잡는게 좋습니다.

10시 20분에 성원이되어 본격적인 산행을 시작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산행 들머리인 산림욕장입구.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산행 10분만에 올라온 정자쉼터.

이곳에서 입장료 1800원 징수 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백운대(440m)에서 바라본 나한봉(571m)과 의상대(587m)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백운대 쉼터에서.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웩짱과 번들사랑.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중백운대(510m)의 단체샷.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점점 가까이 보이는 나한봉과 의상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천 12개울 갈림길.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상백운대(559m).

요기서 중식을 했습니다. 슬러 시같은 막걸리로 목을 축이고 잠시 휴식을 취했죠.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칼바위 능선이 시작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국사봉과 뒤에 왕방산(737m)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칼바위 능선에서 바라본 왕방산(737m)과 해룡산(661m)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물이 없어 넘 허접한 선녀탕.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자재암 나한전.

나한전은 원효스님께서 수행하시던 천연 석굴이며 주불은 석가모니 부처님이시고 자씨미륵보살 제화가라보살이 좌우처로 부처님을 모시고 있으며 16나한상과 천불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자재암 대웅전.

자재암의 주전각인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석가모니부처님을 주불로 관세움보살과 대세지 보살을 좌우협시불로 봉안되어 있습니다.

 

자재암.

자재암 창건과 관련되어 원효가 관음보살을 만나 자신의 수행력을 인가받았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고 원효대사가 요석공주와 인연이 있은후 오로지 수행일념으로 인적이 두절된 심산 유곡을 찾아 산자수면한 아름다운 이곳에 이르러 초막을 짓고 용맹 정진하여 높은 수행을 쌓았고 다고 합니다.

비가 내리는 어느날 심야에 약초를 캐다가 길을잃은 아녀자로 환현한 관세음보살이 원효대사에게 하룻밤 쉬어가길 원했고 중생구제의 구실을 붙여 수도 일념의 심지를 시험하였으나 원효대사 이르기를 ``마음이 생한즉 옳고 그르고, 크고 작고, 깨끗하고 더럽고, 있고 없는 가지가지 법이 없어지는 것이요, 마음이 멸한즉 상대적 시비의 가지가지 법이 없어지는 것이니, 나 원효에게는 자재무애의 참도니 수행의 힘이 있노라.``하는 법문에 그 여인은 미소를 지으며 유유히 사라졌다. 원효대사는 관세음보살의 환현임을 알았고 그 후 지극한 정성으로 더욱 깊은 수행을 쌓았으며 후학을 교계할 생각으로 정사를 지었다.

관세음보살을 친견하고 자재무애의 수행을 쌓았다는 뜻에서 정사를 이름하여 자재암이라 했다고 전해 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옥류폭포(청량폭포)

여름철 우기엔 특히 많은 양의 폭포수로 인해 물안개가 피어오르며 운치를 더해 줍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원효폭포.

일주문을 지나 올라오다보면 입구에서 처음 만나는 폭포.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자재암 일주문.

가을 단풍때면 가장 아름다운 단풍을 보여주는 곳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요석공원 앞에서 단체사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차장 앞의 소요산 자재암 표지석.

 

좋은이들과 하께하는 산행 늘 즐겁습니다.

로즈리 누님의 정성어린 음식도 만나게 먹었고 책선물도 감사합니다.

 

산행 번개는 계속해서 이어집니다.

 

'카페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천 오봉산....  (0) 2009.07.30
수락산...  (0) 2009.07.30
옥순 구담봉....  (0) 2009.07.30
에버랜드....  (0) 2009.07.30
아침고요 원예수목원...  (0) 200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