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월각산
강진 월각산
- ▲ 마지막 암봉 부근에서 본 성전면 일대의 조망. 푸른 논밭이 인상적이다.
-
월각산(月角山·456m)은 월출산에서 뻗은 능선 남쪽 끝에 솟아 있다.
-
월출산국립공원 구역의 경계에 자리한 이 봉우리는 그동안 접근이 쉽지 않아 큰 주목을 끌지 못했다.
-
하지만 몇 해 전부터 목포와 광주 등 인근지역 등산인들이 가벼운 암릉 산행대상지로 이곳을 찾기 시작하며 제법 알려지기 시작했다.
-
이 산이 눈길을 끌기 시작한 것은 땅끝기맥 종주팀이 늘어나면서부터다.
도상거리 약 123km인 땅끝기맥은 호남정맥 깃대봉과 삼계봉 사이의 능선에서 갈려나와 영산강 남쪽을 거쳐 해남의 땅끝까지 뻗은 산줄기다.
-
이 산줄기 위에 월출산과 벌매산(일명 벌뫼산), 두륜산, 달마산 등이 솟아 있다.
-
월각산은 땅끝기맥이 월출산에서 밤재로 연결되기 직전 북쪽으로 살짝 벗어난 곳에 솟아 있다.
월각산은 산의 규모가 작아 따로 떼어 산행하기에는 어딘가 모자란 부분이 있는 게 사실이다.
-
월출산이라는 명산이 지척인 것도 상대적으로 빛을 못 본 이유 가운데 하나다.
-
하지만 월각산은 그 나름대로의 매력을 갖춘 산이다.
-
특히 암릉 위에서 바라보는 월출산의 조망은 다른 어느 곳에서 보는 것에 비할 수 없는 특별함이 있다.
-
천황봉부터 구정봉, 도갑산, 문필봉, 주지봉으로 이어진 긴 능선을 한눈에 담을 수 있다.
-
동양화 속에 일필휘지로 그린 듯한 아름다운 월출산의 실루엣을 이곳에서 감상할 수 있다.
- ▲ 능선길을 걷고 있는 등산객. 월출산에서 이어진 능선답게 조망이 뛰어나다.
-
월각산은 여러 곳에서 오를 수 있다.
-
하지만 그 가운데 가장 무난한 것이 영암군 학산면 묵동리에서 시작해 주봉과 암릉을 두루 답사하는 코스다.
-
이 마을에서 시작해 월출산 도갑산(375.8m)과 월각산의 가운데 고갯마루인 묵동치로 진입한다.
묵동리 마을을 관통하는 포장도로를 따라가다 그 끝에서 숲으로 접어든다.
-
그다지 정돈되지 않은 숲을 15분 정도 뚫고 오르면 자그마한 공터인 묵동치가 나타난다.
-
이어지는 가파른 능선길을 타고 1km 정도 오르게 된다.
-
고도가 높아지며 능선이 완만해지기 시작하고 잠시 뒤 갈림길이 나타난다.
-
월각산 정상은 이곳에서 왼쪽 방향으로 조금 더 가야 나온다. 정상은 별다른 조망이 없어 평범하다.
-
월각산 꼭대기를 밟고 다시 삼거리로 돌아와 남쪽으로 뻗은 산줄기를 따라 걷는다.
월각산 직전 삼거리를 지나면 서서히 조망이 터지기 시작한다.
-
한동안 고도를 떨어뜨린 산길은 고개를 쳐들고 383m봉을 넘는다.
-
안부 한 곳을 거쳐 다시 자그마한 봉우리에 오르면 길이 다시 갈린다. 월각산 암릉지대로 가기 위해서는 남쪽의 굵은 능선을 탄다.
-
삼거리에서 오른쪽 비탈길을 내려서면 밤재를 거쳐 벌매산으로 연결되는 땅끝기맥이다.
- ▲ 420m봉 직전의 암릉지대. 멋진 바위 봉우리들이 인상적이다.
-
본격적인 월각산 산행은 이 삼거리를 지나면서 시작된다.
-
411m봉을 넘어 왼쪽으로 갈림길이 나 있는 안부를 지나면 정면에 거대한 바위봉우리가 보인다.
-
이 암봉이 바로 월각산 바위능선의 첫 번째 관문이다.
-
기둥같이 솟구친 바위 사이로 난 소로를 따라 왼쪽으로 약간 방향을 틀면 커다란 바위에 드리운 굵은 밧줄이 보인다.
-
줄을 잡고 바위를 넘어 오르면 420m봉 정상에 서게 된다.
월각산 능선길은 위험한 절벽 구간마다 굵은 로프가 설치되어 있다.
-
특별한 준비 없이 가벼운 차림으로 가을 암릉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
산길이 뚜렷해 특별히 헷갈릴 염려는 없다.
-
등산로는 대부분 암봉을 우회할 수 있도록 나 있어 크게 위험한 곳은 없다.
-
표지리본도 곳곳에 달려 있어 길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월각산 산행의 백미인 암릉 지대는 1.5km에 불과한 짧은 거리지만 2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
50m 남짓한 고도 차이를 보이는 암봉들이 불규칙하게 솟아 있어 오르내리는 데 제법 시간이 많이 걸린다.
-
시원하게 펼쳐지는 가을 들녘과 월출산의 아름다운 실루엣을 감상하기 좋은 곳이다.
마지막 암봉을 지나 비탈길을 내려서면 키 작은 소나무가 빽빽하게 자라는 숲 사이로 길이 이어진다.
-
중간에 갈림길이 간간이 나타나지만, 능선 남쪽 끝의 242m봉을 거쳐 풍양조씨 묘 쪽으로 하산하는 것이 무난하다.
-
산을 빠져나가 잠시 걸어가면 국도변으로 나선다.
- ▲ 월각산 개념도
-
-
교통 일단 전남 강진군 성전면 소재지를 찾아간다.
서울, 부산 등지에서 광주까지 열차나 고속버스를 이용해 이동한 뒤 성전행 버스를 탄다. -
광주 종합터미널(ARS 062-360-8114)에서 10~15분 간격(04:40~22:05)으로 운행하는 강진,
-
해남행 직행버스를 타고 중간에 성전에서 하차한다.
산행 들머리인 묵동리 마을회관까지는 성전택시(061-432-5858)를 이용한다. -
하산지점인 2번국도와 13번국도의 교차로에서 택시를 부르면 된다.
숙식(지역번호 061) 월각산과 가까운 영암, 강진 일대의 숙박시설을 이용한다.
-
월각산과 가까운 월출산 천황사지구의 민박집이나 경포대지구의 야영장을 이용할 수도 있다.
-
식사는 성전면 소재지 중심부에 밀집한 식당을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
남도 특유의 푸짐한 한정식을 내는 혜화정(432-5126), 신흥식당(432-5252) 등이 있다.